본문 바로가기
주식/미국주식

10년 동안 나스닥 지수 추종 ETF QQQ가 RSI 30 이하로 갔을 때 다음 날 시가에 매수를 하면 해당연도와 현재 수익률이 어떻게 될까?

by 불리자 2023. 11.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불리자입니다.
 

오늘은 10년 동안 나스닥 지수 추종 ETF (티커:QQQ)가 RSI 30 이하로 갔을 때 다음 날 시초가에 매수를 하면 해당연도 및 현재 수익률은 어떻게 되는지 한번 분석해 보았습니다.

먼저 왜 RSI 30 이하로 갔을 때 매수를 하는지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한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https://buliza.tistory.com/14

RSI 지표를 통해 미국주식 무조건 수익내는 법 (RSI 투자법-다우지수)

미국주식 RSI 지표를 통해 수익 창출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불리자입니다. 오늘은 Rsi 지표를 통한 미국주식 투자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보조지표인 Rsi 란 무엇인가? RSI = Relative Strength Ind

buliza.tistory.com

 
 

 

항상 최저점을 노리고 매수를 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 아래쪽에서 사면 좋으니 RSI 30을 기준으로 잡고 매수를 하려고 합니다. 
 
 
그럼 이제 나스닥 지수 추종 ETF 인 QQQ를 이용해 RSI가 종가기준 30 이하로 떨어진 적이 몇 번 있나 찾아보았습니다.

 

 
2014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총 16번 있었습니다.
한 해에 1.6회 정도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만 
1년 내내 RSI가 30이하로 떨어지지 않을 때도 있었습니다.
2017년과 2023년에는 한 번도 오지 않았습니다.
 
그에 반해 2016년 4회 / 2022년 3회 2018 / 2019년 2회로 평균보다 많이 올 때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2016년에 무슨 일이 있었나 찾다 보니 
작년 그리고 올해와 비슷하게 저금리를 유지하다가 금리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저금리 유지 / 2016년 금리 인상 단행

 

2016년 ~ 2019년 금리 인상 시기

 
저금리를 유지하다가 2016년부터 금리인상을 하자 QQQ도 RSI 30 이하로 2016년에만 4차례 갑니다.
 

2013년부터 우상향 하던 주가2016년에 금리인상을 하게 되고 박스권에 머무르게 됩니다.
하지만 2019년도까지 금리 인상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이후 주가는 우상향 합니다.
2016년도에 4차례 RSI 30을 찍었으니 저 박스 안에서 4차례나 있었겠네요!
 
자!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2014년 1월 1일 이후 종가기준 RSI 30 이하로 터치했을 때, 다음 날 시초가에 매수를 하면 당해연도와 현재 수익률이 어떻게 되는지 한번 분석해 보겠습니다. 

종가기준 RSI  30 이하로 왔을 때 터치 일자 및 터치 일자의 종가입니다. (장중에는 주가가 더 아래로 갔을 수도 있습니다.)

종가기준으로 RSI 30 이하를 터치한 뒤 다음 거래일 시초가입니다.
종가보다 더 내려갔을 때도 있고 더 위로 갔을 때도 있습니다. 

터치일 다음 거래일 시초가에 매수를 했을 때 해당일의 매수 평균가입니다.  (16번을 같은 비율로 매수했을 때)
아시다시피 2020년 코로나 이후 주가가 많이 오른 만큼 당해연도 종가 또한 평단가와 많이 차이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수익률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수익률이 어떻게 되는지 한번 볼까요?

 
2014년 첫 해에 수익률이 14% 
이후 2016년 59%까지 갔다가 2018년 미중무역분쟁 때 33%까지 내려오게 됩니다.

그 후 코로나 떡상 시기에 최대 156%까지 올라가고 이후 금리 인상으로 인해 46%까지 내려오네요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2021년 말까지 코로나 떡상시기에 수익률이 좋고 이후 많이 내려왔다가 2023년 11월 12일 기준으로 
107%입니다!!!
평균 60% 초반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만약 최고점 일 때 rsi 30 이하  매수를 시작하면 현재 어떻게 되어있을까요..?

일단 총 4번의 매수 기회가 있었고 평균단가는 310.92875입니다.
가장 오른쪽은 당해연도 종가입니다.
오른쪽 제일 아래는 현재가 (2023년 11월 12일)입니다.
 
첫 번째는 353에서 397까지 갔으니10% 이상의 수익을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2년 266.28까지 떨어집니다.
총 4번 매수 평균가가 310이고 266까지이니 2022년 12월 31일 잔고에 -16%까지 찍혀있는 걸 봤겠네요!
하지만 2023년 11월 12일 현재 21.3%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겠네요!
 
그렇다면 QQQ가 아닌 QQQ 2배 ETF = QLD를 같은 날짜에 매수를 했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최저 수익률 15.98% 최대수익률 310%  (당해연도 종가기준) 
현재(2023년 11월 12일) 165%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겠네요
 
마찬가지로 QLD를 RSI 30 이하 기준 매수가가 가장 높을 때 매수를 했다면?

 
2021년 10월 매수가 71에서 2021년 12월 31일 종가 89까지 2021년 12월 31일에 25% 수익률이 찍힌 걸 봤다가
2022년 12월 31일에는 -34% 수익률을 MTS 잔고 확인 창에서 볼 수 있었겠네요
그러다가 2023년 11월 12일 현재 21.1% 수익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점에서 매수했을 때는 QQQ와 QLD는 놀랍게도 
2022년 12월 31일 -16% 까지 찍고 2023년 11월 12일 현재 21.3
2022년 12월 31일 -25% 까지 찍고 2023년 11월 12일 현재 21.1
생각보다 별 차이가 안 나네요..?
하지만 지난 10년 동안 최고 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QQQ는 156% QLD는 310%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QQQ 3배 TQQQ를 같은 기간에 매수하면 어떻게 되는지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최저수익률 8.7 % ㄷㄷ 최고 수익률 576% ㄷㄷ...
2021년 말에 576%의 수익률을 기록하다가다음 해 8.7% 수익률을 기록하는 걸 볼 수 있네요
약 9년 동안 기회가 될 때 매수를 했는데 8.7% 수익률을 보면 멘탈이 많이 망가질 것 같습니다.ㅠㅠ
그래도 존버를 한다면 2023년 11월 12일 현재 153% 수익률을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고 만약 고점에서 매수를 시작했다면?

 
2021년 10월에 RSI 30 아래로 내려가 매수를 했다면 59에서 83으로 2021년 12월 31일 약 3달 만에 38.6% 수익률을 기록했겠네요!!!
이후 2022년 12월 31일 -55% 의 수익률을 잔고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8%가 1년 만에 -55%가 되니... 멘탈이 많이 무너질 수 있을 것 같네요!
하지만 2023년 11월 12일 현재  그래도 조금 회복을 해서 +3.5% 수익률을 보고 있겠네요!
 
그렇다면  QQQ QLD(2배) TQQQ(3배) 정리를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0년
최저
수익률
10년
최고
수익률
2021년
(최고점)
매수시 
최저수익률
2021년
(최고점)
매수시 
현재 수익률
QQQ+14.17+156.03-16+21.3
QLD+15.98+367.06-25+21.1
TQQQ+8.7+576.46-55+3.5

 
 

정리

RSI 가 어느 정도 최저점을 노려 매수를 한다고 해도 하락장에서는 더 내려갈 수도 있기 때문에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떡상시기나 2013~2015년 말까지 우상향 시기는 물론 2016년도와 같이 박스권 시기에도 +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는 금리인상으로 인해 주가가 많이 내렸고, 아직 금리 인하 시기가 오지 않아 위험성이 있지만 금리가 내려가고 우상향 시기가 도래하면 다시 꽤나 큰 수익을 가져다주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