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미국주식

Rsi 지표를 이용해 S&P500 무조건 수익내는 법

by 불리자 2023. 11. 10.
반응형

RSI 지표를 이용해 S&P500 수익 내는 법

 

안녕하세요 불리자입니다.

 

오늘은 rsi 지표를 이용해 S&P500 투자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rsi 지표에 관한 간단한 정보와 다우지수를 이용한 투자법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고요!

https://buliza.tistory.com/14

 

RSI 지표를 통해 미국주식 무조건 수익내는 법 (RSI 투자법-다우지수)

미국주식 RSI 지표를 통해 수익 창출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불리자입니다. 오늘은 Rsi 지표를 통한 미국주식 투자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보조지표인 Rsi 란 무엇인가? RSI = Relative Strength Ind

buliza.tistory.com

 

 

바로 rsi 지표를 이용해 나스닥 지수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증권사마다 rsi 가 다른데 저는 야후파이낸스, 인베스팅닷컴과 가장 비슷한 키움증권을 이용해서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의 코로나 발생 이후 차트 모습입니다.

우상향 하다가 2022년 1월부터 하락 후 현재 조금 상승했습니다.

코로나 때는 모든 지수들이 급락했으므로 그때 이후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rsi 30 이하는 총 6차례 발생했습니다.

(코로나 급락 이후 현재까지 32대 3번, 31대 2번으로 가까스로 30 이하로 떨어지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때 다우 혹은 나스닥이 30 아래로 갔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후 분석글을 올려보겠습니다.)

 

 

조금 확대해서 Rsi 지표와 대입하여 수직선을 그어보겠습니다!

 

 

 

2023년 10월 27일 금요일 rsi 29.1143

2023년 10월 3일 화요일 rsi 28.5447

 

2022년 9월 23일 금요일 28.9

2022년 9월 30일 금요일 28.45

 

2022년 6월 17일에는 30 이하로는 가지 않고 31까지 찍었었네요! (사각형 표시)

2022년 1월 21일 금요일 26.4 이후 (왼쪽 두꺼운 막대)

2022년 1월 27일 목요일 24.5까지 하락합니다. (오른쪽 얇은 막대)

2022년 1월 21일 이후에도 RSI 30 위로 상승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 번으로 보겠습니다.

 

이를 토대로 2020년 3월 코로나가 발생한 이후 S&P500 추종 ETF (티커 : SPY) RSI 30 이하 일자 및 주가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터치 및 저점 - 해당일 고점

단기 고점 - 해당일 고점

단기 고점 = 저점 혹은 터치일 15일 내외

(상승률이 좋게끔 고정했다는 점 참고해 주세요!)

 

 

총 4차례 발생한 걸로 볼 수 있고 36개월 동안 4차례니 약 9개월에 한 번꼴로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터치일 대비 상승률은 평균 5.07%

저점 대비 상승률은 6.59%

 

9개월에 한 번 정도 5~6.5% 수익.. 꽤나 긴 기다림에 비해 수익이 그렇게 크진 않습니다.

 

그렇다면 S&P500 추종 2배 ETF (티커:SSO)를 같은 기간에 사고팔면 수익률이 얼마나 될까요?

 

 

터치일 대비 상승률은 평균 10.13%

저점 대비 상승률은 13.45%

9개월에 한 번 정도 10~13.5% 정도의 수익이 나오니까 꽤 괜찮을 것 같습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S&P500 추종 3배 ETF (티커:UPRO)를 같은 기간에 사고팔면 수익률이 어떻게 될까요?

 

 

터치일 대비 상승률은 평균 13.339%

저점 대비 상승률은 20.7575% 

9개월에 한 번 정도 13~20% 정도 수익이 나오니까 해볼 만한 것 같습니다!

최소 12.9 최대 29.18% 까지 분포하고 있습니다.

 

결론

S&P500 지수가 RSI 30 아래로 갔을 때, S&P 500 지수 3배 ETF(UPRO)를 매수하면 보름 정도 안에 13%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다.

 

RSI 지표를 이용, S&P500 지수를 분석하여 RSI 30 터치 일자, 단기 수익률 등을 분석해았는데요.

추후 NASDAQ(나스닥), 애플(AAPL) 등 규모가 큰 종목, ETF를 분석해오 올려드릴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